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그린수소, 블루수소, 그레이수소 란?
    신문기사_논문_가이드 2022. 2. 8. 11:19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정보관리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양술사쏜~ 입니다.
    기술사의 시선으로 ICT 관련 주제를 쉽게 풀어주는
    PER.SON(Professional Engineer Report, SON) 블로거 입니다.

     

     

    그린수소! 수소에도 색깔이 있는걸까요?

     

    그레이수소, 블루수소, 그린수소라는 

    생소한 단어가 신문기사의 키워드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수소앞에 그레이, 블루, 그린 이라는 색상을 

    붙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건 바로,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원이 다르고

    발생되는 부산물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색상에서 느껴지는 이미지가 어떤가요?

    그레이(Gray) : 어쩐지 우중충하고 답답한 느낌이 납니다.

    블루(Blue) : 푸른하늘이나 시원한 바다가 느껴집니다.

    그린(Green) : 깨끗하고 청량감 느껴지는 초원과 시원한 바람이 느껴지네요

     

    이렇듯 색상이 가지는 이미지를 수소와 연결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을 시각화, 이미지화 한것이

    바로 그레이수소, 블루수소, 그린수소 입니다.

     

    아래 이미지를 한번 보실까요!

     

    1. 그레이수소는 수소의 생산 과정에 화석연료(화력, 석유 등)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여 지구온난화를 가속하게 됩니다.

     

    2. 블루수소도 마찬가지로 수소의 생산 과정에 화석연료를 사용하는것은 같지만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잡아서 묶는), 저장하여 대기오염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3. 그린수소는 수소의 생산과정에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등)와 물을 사용합니다.

       이때문에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어 ‘궁극적인 친환경 수소’라 불립니다.

     

    이 때문에 세계 각국은 "2050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그린수소 생산과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여러 제도와 인증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그럼, 한가지 의문이 생기지 않나요?

    그린수소로 100% 생산하면 그레이수소, 블루수소는 필요 없겠죠.

     

    하지만, 현재 수소생산량의 약 95%정도가 그레이수소 이며,

    블루수소는 포집/저장에 비용이 많이 소요될뿐 아니라

    완전하게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는 불가능 합니다.

     

    그린수소로 당장 전환하지 못하는 원인은 바로~ 바로~ 바로바로~~~~~

    친환경 재생에너지의 생산 단가가 아직은 너무 높기 때문이죠!

     

    정부에서도 친환경 재생에너지의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해

    많은 제도적 장치와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하루 빨리 그린수소에너지 생태계가 활성화 되고

    가격도 저렴해저서, 수소전지에 기반한 교통수단이 많이지면

    지구온난화를 완화하여 지속가능한 지구가 되길 바래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