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Network 2022. 5. 21. 09:41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네트워크 주소 변환)은 IP 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한다.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IP나 TCP/UDP의 체크섬(checksum)도 다시 계산되어 재기록해야 한다. NAT를 이용하는 이유는 대개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이다. 변환 방식 Full-cone NAT (one-to-one NAT) (Address)-restricted-cone NAT Port-restricted cone NAT Symmetric NAT 출처 : 위키백과
-
ISM 대역,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band, ISM bandNetwork 2022. 4. 13. 10:59
1. 비면허 주파수 대역, ISM 대역(band) 국제 전기 통신 연합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이 전파를 무선통신 이외의 산업 즉, 산업(Industrial), 과학(Scientific ), 의료용(Medical) 기기등에 사용하기 위해 지정한 고주파 주파수 대역이다. 2. ISM 대역(band)의 특징 - 허가가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으로 소출력의 무선통신 기기들에 많이 사용되며 - 우리가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RFID 등이 모두 이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다. - 따라서 ISM 기기들간 주파수 대역이 겹치는 경우 통신 장비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
네트워크의 QoS(Quality of Service)Network 2022. 4. 11. 14:42
네트워크 QoS(Quality of Service) : 통신 서비스 품질 지표 QoS 결정 요소 : 대역폭, 지연, 패킷손실, Jitter 1.QoS위한 패킷 스케쥴링 - FIFO Queue, PQ(Priority), WPQ(Weighted) 2.QoS위한 패킷 Shaping - Token Bucket, 3.QoS위한 패킷 Filtering - RED(Random Early Detection) -WRED 4.QoS보장 위한 서비스 - IntServ(E2E) : PATH, RSVP - DiffServ(End To Edge) : 올림픽 서비스 DS(Differentiated Service)필드에 DSCP(DS Code Point)를 마킹하여 서비스 클래스별 PHB(Per Hop Behavior) 우선순위를 ..
-
AGPS(Assisted GPS)Network 2022. 4. 5. 08:54
Standalone GPS(줄여서 S-GPS)는 GPS 위성의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A-GPS는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무선네트워크(3G/4G/WIFI) 자원을 활용하여 위성 신호를 보다 빨리 활용하고, 수신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도 보다 향상된 결과를 제공한다. Assisted GPS(줄여서 A-GPS)는 특정 조건에서(주로 서버와 데이터 연결이 성립되었을 때) GPS 시작 속도를 향상시키고, TTFF(Time To First Fix, 처음 인공위성과 데이터 링크가 고정되기까지 소요된 시간)를 줄이기 위한 위성 기반 위치 획득 체계이다. A-GPS는 GPS가 내장된 휴대 전화 혹은 스마트폰에서 주로 사용되며, 미 연방 통신 위원회에 의해 911 응급 통화시 위치를 빠르게 전..
-
5G Network Slicing, 네트워크 슬라이싱이란?Network 2022. 3. 29. 15:46
개념 - 5G 네트워크망을 이용 관리형 서비스(특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물리적 네트워크망을 논리적으로 정의하고 서비스 특성별로 분할하는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 유형 : Core[Core Cloud], RAN[=Edge Cloud](DU, RU) Type별 유형: eMBB, uRLLC, mMTC 단일 물리 채널, 다중 논리 채널 SDN(Data Plane, Control Plane, CDPI, NBI), NFV(NFVI, VNFs, MANO, E2E) NFV(Route, NAT, Firewall, IDS, IPS, DNS, Caching, Virtual Appliance) Openflow, Network OS(ETRI N2OS, Management[CLI, SNMP]/Control[PAL, OSI 2/..
-
OSI 7Layer model(7계층 모델)Network 2022. 3. 14. 09:05
I. ISO 7498, OSI 7계층 모델(7 Layer-model for OSI)의 개요. 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Layer의 정의 - 이기종간 네트워크 통신에서 생기는 다양한 충돌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국제표준기구(ISO)에서 표준화된 네트워크 구조 및 통신 프로토콜을 제시한 국제표준규격 나. OSI 7 Layer의 특징 - 독립성 : 각 계층(Layer)별 변경이 다른 계층에 옇향을 주지 않음 - 추상성 : 각 계층(Layer)별 구현에 대한 내용은 없음 - 개념모델 : 개념 정의 및 설명 , 네트워크 관련 논의 등의 도구로 사용 - 캡슐화(encapsulation) :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으로 내려올 때 Header, Trailer 등을 첨부 - ..
-
큐비트(qubit)Network 2022. 1. 19. 11:45
큐비트(qubit) 양자 정보통신에서 사용하는 수학적으로 정의된 정보의 기본 단위.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정보의 단위는 비트이다. 이와 유사하게 양자 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최소 정보 단위를 큐큐비트(qubit)라고 한다. 비트(bit)는 두 가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적인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오는 경우를 비트 '0' (혹은 '1'), 뒷면이 나오는 경우를 비트 '1' (혹은 '0')로 나타낼 수 있다. 이상적인 동전과 같이 2가지 상태만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2-level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비트와 마찬가지로 큐비트는 2-level 양자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양자 정보는 중첩이 가능하다. 비트는 '0'과 '1'의 두 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현재의 상태 값을 가진다. 양자 정보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