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Time boxing
    기술사 학습 2021. 11. 5. 10:39
    728x90
    반응형

    Time boxing

    테스트 기법중

    경험기반 테스트 수행시

    One Session 의 정해진 시간을 의미한다.

    무한정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 아나라

    짧은 정해진 제한 시간 내에

    테스팅하여 몰입 유도하여

    테스트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법이다.

    기술사 학습시에도

    이 기법은 유용한다.

    실제 시험에서 문제별 시간을

    할당하여(1교시 문항당 9분,

    2교시 23분) 답안을 작성하는 것이

    유효하다.

    자주 하는 실수 중의 하나가

    잘 아는 문제, 쓸게 많은 문제에

    오버페이스 하는 것이다.

    1교시 3단락 까지 10분안에

    끊지 못하고 11~12분을 할애하면

    마지막 10번째 문제는

    4~5분 으로 부실한 답안이 된다.

    2교시는 더욱 심각하다

    25분 안에 끊지 못하고

    30~35분 쓰다보면

    마지막 한 문제는 10~15분

    밖에 남지 않아 부실한 답안이

    되고 불합격으로 이어진다.

    1~2문제 아무리 고득점이 나와도

    문제를 다 풀지 못하거나

    기본 점수(1교시 15점/3명 채점관 = 5점,

    2교시 39점/3명 채점관 = 13점)

    에 실패하면 고득점 문제로

    상쇄하기 쉽지 않다.

    고득점 문제는 답안 페이지로 결정되지 않는다.

    정답이 있는 문제(계산, 법제도, 명확한 기법/유형)에

    핵심이 있는 답안으로 2~3페이지면 충분하다.

    제 경우엔 2페이지 답안으로

    52점 받은 문제의 경우 감리프레임워크

    관련 문제로 명확한 답안이 있는 경우였다

    이런 Time boxing 전략은

    평소 학습시 훈련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Stop Watch로 9분, 23분 세팅하고

    셀프 테스트를 수행하며

    지속적으로 주간 모의고사,

    월간 모의고사 등에 적용해야 한다.

    오늘은

    초심자 부터 고수들 까지도

    어려운 시간관리인

    Time Boxing에 대해

    조언해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즐공! 열공!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