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단말 간 직접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Network 2021. 12. 29. 11:34
    728x90
    반응형

    1. 통신망 부하경감 및 높은 QoS제공,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D2D 통신) 기술의 개요

    . D2D 통신 정의와 필요성

    구분 설명
    정의

    - 이동전화망에서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코어망을 경유하지 않고 두 모바일 사용자 간 직접 통신하는 방식
    - 기지국, 무선접속 공유기(AP)의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단말기 간에 직접 통신하는 기술
    필요성 모바일 디바이스 폭증 -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센서 등 IoT 기기의 폭발적 증가
    기존 통신방식 한계 - Bluethooth, WiFi P2P 통신기술의 대역폭 및 QoS 한계 존재
    응용 기술의 요구 - 근접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 기반한 응용 기술의 요구 증가

    . D2D단말의 계층 구조 및 탐색절차


    [D2D 단말의 계층 구조 및 탐색 절차]

    - 단말기의 계층 구조는 D2D 응용계층, D2D 관리계층, 그리고 D2D 전송계층으로 구성됨.

     

    2. 단말 간 직접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의 운용 시나리오 3가지 설명
    . D2D 통신 운용 시나리오 3가지 시나리오 유형 분류

    - 직접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의 운용 시나리오는 In-network coverage scenario, Out-of-network coverage scenario, Partial network coverage scenario 3가지로 분류 가능함.

     

    . D2D 통신 운용 시나리오 3가지 시나리오 상세설명

    운영 시나리오 구성도 상세 설명
    In-network coverage
    - 단말 간 에너지 효율적인 D2D 탐색 또는 직접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말 간 동기를 수행하기 위한 동기 신호의 설계 및 이에 따른 시간/주파수 동기화 절차가 필요함.
     
    Out-of-network coverage
    - 동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주체가 없기 때문에 단말 간 동기를 수행하기 위한 동기 신호의 설계 및 동기화 절차가 요구됨.
    - 동기화를 위한 방법은 단말들 간 분산적 수행 또는 동기 노드의 선출을 통한 중앙 집중 식 방식 존재.
    Partial network coverage
    -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D2D 단말들은 기지국과 동기화를 유지하고 있으며,
    기지국 커버리지 밖에 존재하는 D2D 단말들은 단말들 간 별도의 동기를 수행하기 때문에 상호 간섭을 유발할 수 있음. 따라서 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상호 간섭 제어 방안에 대한 연구 필요.

    - D2D 서비스 시나리오는 상업용 서비스 활용과 공공안전과 관련된 서비스 활용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음.

    728x90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Layer model(7계층 모델)  (0) 2022.03.14
    큐비트(qubit)  (0) 2022.01.19
    차세대 이동통신 6G  (0) 2022.01.11
    Open RAN(Open Radio Access Network)  (0) 2021.12.17
    Aloha 프로토콜  (0) 2021.12.02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