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Open RAN(Open Radio Access Network)
    Network 2021. 12. 17. 14:01
    728x90
    반응형

    0. why 

     - SDN, NFV 등장으로 코어망은 SW중심적이며 가상화되고 지능화로 변화중
    하지만, 기지국을 포함한 무선 접속망은 폐쇄형 구조로 특정 제조사에 Lock-In, 상호호환성 문제 발생

    이를 해결하기 위한 O-RAN Alliance 2018년 AT&T, 차이나모바일, 도이치텔레콤 등 현재 300개 회원사 참여 

    표준화 및 상용화 활발한 전개

     

    1. 개념

     - 무선 기지국 연결에 필요한 인터페이스와 기지국 운용체제(OS)를 

       개방형 표준으로 구축하는 기술 또는 OpenRAN 기술로 구축한 네트워크 

     

    2. OpenRAN 구성도

    3. Open Interface 프로토콜 Stack

    가. C/U Plane (Control/User)

    - eCPRI, RoE(Radio Over Ethernet): Ethernet 을 통핚 젂송 프로토콜

    - UDP/IP: Datagram 젂송 표준 프로토콜

    나. S-Plane (Synchronized) 

     - PTP(Precision time Protocol): 네트워크 접속된 장비간의 시간 동기화 프로토콜

     - SyncE: Ehternet 을 통해 clock signal 을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다. M-Plane (Management)

    - NETCONF: RFC 6241 기반, 장비 구성설정을 위한 표준 트로토콜

    - TCP/IP/SSH: 데이터 전송 표준 프로토콜

     

    728x90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Layer model(7계층 모델)  (0) 2022.03.14
    큐비트(qubit)  (0) 2022.01.19
    차세대 이동통신 6G  (0) 2022.01.11
    단말 간 직접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0) 2021.12.29
    Aloha 프로토콜  (0) 2021.12.02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