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23회 정보관리기술사 1교시 회
    기술사 멘토링 2021. 12. 30. 09:3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정보관리/컴시응 양술사쏜~ 입니다.

     

    오늘은 2022년 첫번째 회차인 126회 시험이 한 달 남은 상황에서

    2021년 첫번째 회차인 123회(겨울) 정보관리 1교시 문제를

    한 번 돌아보려 합니다.

     

     

    1. SCRUM의 팀구성 및 개발프로세스

     > 대세 개발 사상인 Agile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SCRUM 프로세스(또는 방법론)의 확인

        컴퓨터시스템응용에서는 XP 문제가 최근에 출제 되었습니다.

        이제, 물어 볼 건 Lean개발 방법론, 좀 더 깊게

        각 방법론의 효율성 측정 방법, 산출물 관리, 원가관리 정도 생각해 봅니다.


    2. 타당도(Validity)와 신뢰도(Reliablity)

     > 어려운 문제 였습니다. 통계학을 기초부터 학습하지 않았다면

        손대기 어려운 문제였죠!

        이제 정보관리에서 통계를 빼고 준비 한다는건 어불성설입니다.

        인공지능의 기초가 통계니까요~

        통계학개론 정도는 목차대로 학습 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3. EfficientNet과 EfficientDet의 비교

     > 인공지능에 대한 기대감과 효율화 알고리즘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확인(구글 논문)

        CNN은 이미지 학습 분야의 큰 획을 긋는 알고리즘으로 더 적은 컴퓨팅 자원과 

        연산으로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한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R-CNN, Fast/Faster CNN, YOLO 

        
    4. 디파이(De-fi)

     > 블록체인으로 촉발된 탈중앙화 개념이 기술 발전과 결합되어

        산업속으로 스며들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토픽은 꼭 챙기셔야 합니다.

        CBDC, DID, Decentralized WEB  

        
    5. 지능정보화 기본법

     > 정보관리에 딱 맞는 문제였죠!, 정보화의 큰 틀을 제공하는 관련 법령으로

       국가정보화기본법이 지능정보화기본법으로 명칭 및 전반적인 내용이 재정/개정으로 출제

       시험일을 기준으로 1년정도 기간의 커다란 법령관련 변경은 챙기셔야 합니다.


    6. 로우코드(Low Code)

     > 전문성의 민주화(전문가가 아니어도 전문적인 영역의 접근이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

       투명성과 효율성 관점에서 접근하고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 보세요

       RPA, IPA, Python


    7. OAS(OpenAPI Specification)

     > OpenAPI는 플랫폼, 메시업 서비스의 구성 기술로

        빅데이터,  IoT, 클라우드, 블록체인과 연결되는 거미줄 같은 기술입니다.


    8. 오픈소스 프로젝트관리 소프트웨어

     > 오픈소스는 최근 3~4년간 단골 Topic입니다.

     유수한 기업, 솔루션, 전자정부프레임웍 이제 오픈소스 없이 IT산언을

     이야기 할 수 없죠. 어느 정도 중요 포인트만 챙기세요


    9.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

     > W3C에서 재정한 웹 브라우저 간에 플러그인 없이 

    음성 통화, 비디오 채팅 및 파일 공유 등 API 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기술 표준

    트렌디한 기술에 대한 접근과 정리가 필요한 문제였습니다.


    10. HAZOP(HAZard and OPerability analysis)

     > SW안전에 대한 분석기법으로 모든 수험생이 접근한 문제로

      차별화가 힘든 문제입니다. 6점을 목표로 1페이지 접근 전략이 좋겠습니다.


    11. Column Family 데이터베이스

     > NoSQL의 구체적인 사례로 쓸 내용이 많지는 않지만

      현장에서 사용을 해 보신 분이라면 사례 기반으로 접근하면 좋은 점수가 가능했습니다.


    12. GADI(Global Architecture for Digital Identity)

     > DID 플랫폼간의 상호운용성 해법을 제시한 설계구조로 

     DID 생태계에 대한 이해와 평소 ICT관련 신문, 포탈등을 챙겨봐야 하는 토픽입니다.


    13. 해저케이블 에퀴아노(Equiano) 프로젝트

     > 이건 뭐야~~~~, 과연 선택한 수험생이 있을지 의문입니다. ㅎㅎㅎ

        이건 그냥 버리는 문제로 출제한듯~

     

     

    이상 정보관리기술사 123회 1교시 문제를 회고해 보았습니다.

    출제경향을 보면 전통적인 빈출 토픽은 HAZOP 정도이고,

    대세가 된 기술들과 현장에서 사용되는 기술 중심으로 출제가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출제경향이 지속될거라 예상합니다.

     

    "노력은 배신하지 않습니다."

    오늘하루도 화이팅입니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