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공학
-
ModelOps란 무엇?소프트웨어공학 2022. 4. 22. 12:48
ModelOps 는 가트너가 뽑은 2021년 전략기술의 분류중 회복 탄력성(Resiliency Delivery) 과 관련한 인공지능 공학(AI engineering)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 기술화] 기술의 하나임. ModelOps 기술의 가트너 하이프사이클의 위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트너에 따르면 AI 프로토 타이핑 과제가 실제 생산•프로젝트로 연계되는 것은 53% 수준이며 원인은 AI가 인스톨 되면 동작하고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개선과 운영을 필요로 하는데, 기업의 IT 관리자가 이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도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함. 데브옵스(DevOps)가 개발과 운영을 통합해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개념 이라고 하면, 여기에 데이터의 ..
-
Agile(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선언소프트웨어공학 2021. 12. 21. 10:48
0.why - 방대한 문서를 기반으로 하는 SW개발방법론의 대안 모색 - 개발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고객과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방법 I. 배경 2001년 2월 소프트웨어 업계에 영향력이 있는 켄트 벡, 마틴 파울러, 로버트 마틴, 제프 서덜런드 등 17명이 유타주의 스키 리조트에 모여 방대한 문서 작업을 기반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에 어떤 대안이 있을지 서로의 경험에서 비롯된 내용들을 공유하며 더 나은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수행 방법을 모색한 결과로 익스트림 프로그래밍(eXtreme Programming: XP), 스크럼, 동적 시스템 개발 모델(Dynamic System Development Model: DSDM), 적응형 소프트웨어 개발, 크리스탈, 피처-드리븐 개발..
-
Record and Replay 기법소프트웨어공학 2021. 12. 14. 11:09
- 이벤트 기반의 시스템 테스팅을 위한 Record and Replay 기법 0.Why - HW 와 결합된 임베디드 시스템과 기본적인 SW 테스트 기법에 대한 학습 - Keyword Dess-V, Multiple V, Record & Replay, 동등분할, 경계값 분석, 결정테이블, 상태전이 테스팅, 분류트리기법, Pair Wise, Usecase Test, 제어흐름 테스팅, 커버리지 테스팅, 최소비교 테스팅, 탐색적 테스팅 1.개념 - 이벤트 기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들과 그 발생 시간을 저장, 저장된 이벤트를 재실행 시켜서 문제점을 찾아내는 테스팅 기법 2. 구성도 (작동 매커니즘) 3. 임베디드 테스팅 기법 비교 (개념, 목적, 특징, 장점, 단점) Dess-V, Multiple V, ..
-
연동기획 (Rolling Wave Planning)소프트웨어공학 2021. 12. 14. 09:01
0.Why PMBOK 일정관리 지식영역중 활동관리의 Tool & Tech 학습 확인 (미시적) 1.개념 가까운 미래에 완료 할 작업은 상세하게 계획하고 먼 미래의 불확실한 작업은 상위 수준으로 계획하는 점진적 상세화 기법 2.키워드 Progressive Elabolation, WBS, 활동정의, PMBOK 3.절차 Project a Starting > Planning & Initiating > Controlliing a Management Stage > Managing Product Delivery > Management Stage Boundary > Closing a Project 4.비교 Up-Front Planning : 프로젝트의 요구사항이 명확하여 SDLC 단계별 작업 수행에 초점
-
소프트웨어 품질소프트웨어공학 2021. 11. 5. 10:56
기술사 학습을 하다보면 수많은 표준을 암기해야 합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소프트웨어 품질 표준입니다. 표준에 대해서는 차 후 별도로 한번 정리를 해 볼 생각입니다. 고품질의 SW란 그것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적(민원24, 주민등록등본발급) 요소와 시스템이 요구하는 비기능적(3초 이내 요청 처리)요소를 모두 만족하는 SW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품질에는 3가지 품질 요소가 있습니다. 1.프로덕트(제품) 품질 : ISO/IEC 9126, 14598, 12119, 25000 2.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품질 : ISO/IEC 12207, CMMI, SPICE(ISO/IEC 15504) 3.소프트웨어 품질 경영 : ISO 9000 품질 경영 시스템(family of qual..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소프트웨어공학 2021. 11. 5. 10:48
결국, 방법론이란 잘 설계된 프로세스를 따라 가다보면 일정 수준 품질이 확보된 SW의 기대가 가능한 "SW 개발에 과정에 대한 종합 가이드라인"으로 정의해 본다. 1. 소프트웨어는 알겠는데 !, 방법론은 뭐지? - 방법론은 쉽게 [절방산관기도] 를 갖춘걸 의미합니다. 즉, 절차 / 방법 / 산출물 / 관리(PMP 등) / 기법 / 도구(CASE) 2. 소프트웨어 방법론의 발전 방향(순서) 두음 : 구정객씨아 * 구조적 방법론 [기능 중심] : 가내 수공업 정도 (회사에 쓰기엔 무리...) * 정보공학(IE) 방법론 [데이터 중심] : 정보시스템 구축(장시간 소요, 특정 분야에 한정) * 객체지향 방법론 [객체 중심] : 엔터프라이즈 & 범용 어플리케이션 구축(복잡, 재사용 단위가 낮음) * CB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