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2020년(제21회) 정보시스템 감리사 필기시험 문제기술사의 일상 2021. 11. 19. 13:58
1. '전자정부법(제58조,제59조,제61조)' 에 따라 행정안전부장관은 감리법인이 위법한 행위를 한 경우 업무정지를 하거나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 다음 중 반드시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경우는? ① 전자정부법에 따른 등록기준에 미달하게 된 경우 ② 전자정부법에 따른 변경사항을 신고하지 아니 하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 ③ 전자정부법을 위반하여 다른 자에게 자기의 명칭을 사용하여 정보시스템 감리를 하게 한 경우 ④ 임원이 전자정부법에 따른 결격사유에 해당 되고, 결격사유에 해당되는 날부터 6개월 이내에 해당 임원을 바꾸어 임명하지 않은 경우 2. '정보시스템 감리원 윤리가이드(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에서 제시하고 있는 감리원 윤리성 관리 점검항목의 감리원 자가점검 항목에 대한 설명으 로 가장 적..
-
2021년 정기 기술사 125회 면접 채점 결과 집계표기술사 멘토링 2021. 11. 19. 13:45
2021년 마지막 기술사 합격자 발표가 오늘 있었습니다. 정보관리 합격률은 72.73% 로 매우 높았고 컴시응은 상대적으로 낮은 45.45% 였습니다. 저는 오늘 125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에 최종 합격 하였습니다. 124 정보관리기술사 125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두 가지 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다. 정보관리기술사는 합격률이 72.73% 괭장히 높은 편이며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는 상대적으로 45.45%로 다소 낮은 편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면접의 경우 해당 회차의 면접관의 성향 즉, 괭장히 고난이도의 질문(기술사라면 이정도는 알아줘야지!) 또는 이미 필기에서 어느 정도 검증되었으니 기본만 물어보자 에 따라 합격률이 괭장히 차이가 있어 보입니다. 시험 운이 어는 정도 작용되는 시험으로..
-
제125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최종 합격기술사의 일상 2021. 11. 19. 13:34
지난 금요일(2021.11.12)에 제125회 기술사 합격자(면접) 발표가 있었습니다. 병원에 내원할 일이 있어서 버스로 이동중에 다른거 잠깐 보고 있었는데, 스마트워치에 산업인력관리공단 문자가 떠서, 됐구나 싶었습니다. ^^ 정보관리기술사는 122회(2020년 8월)에 필기합격후 거의 1년 동안 면접 준비로 피를 말렸었는데 이번에는 동차에(125회 면접) 바로 합격해서 너무 개운합니다. 필기는 필기대로 힘들지만 면접 준비는 또 다른 고난입니다. - 끊임 없는 되네임(자기소개 등)과 토픽공부 - 떨어지면 멘탈도 나가고 - 나를 돌아보는 (좋은 면 보다는, 우울감이 높아지는) - 1주에 2~3번의 모의면접 이 시험이 참 힘든 시험이 맞습니다. 힘들지만, 꾸준히 하다보면 합격의 기쁨과 ..
-
125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합격 후기기술사의 일상 2021. 11. 18. 15:44
1.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도전 배경 2차례의 면접 불합격, 3번째 면접 준비로 몸도 마음도 지치고 뭘 더 해야할까 고민하다가 토픽 공부를 필기때 처럼 열심히 해보자 마음먹고 이왕 공부하는거 목표를 정하고 해보자 125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필기시험(2021.07.31)을 봤습니다. 컴시응 기술사 합격 간트차트 2.학습기간 및 학습방법 가. 학습기간 - 누적 학습기간 : 2019년 02월 ~ 2021년 10월 - 정보관리기술사 합격 기간 : 2019년 02월 ~ 2021년 09월(2년 7개월) -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합격 기간 : 2021년 02월 ~ 2021년 10월 (10개월) 나. 학습방법 - 선택과 집중 : 컴퓨터구조(CA), 운영체제(OS), 네트워크 기출/모의고사 200문제 반복..
-
데이터 품질 방안[레거시, 빅데이터, 공공데이터..]Database 2021. 11. 5. 10:57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해 프레임워크 수립이 중요합니다. X축은 품질관리 대상, Y축은 품질관리 조직으로 매트릭스를 구성하여 대상별 조직의 역할을 정의하는 것이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 입니다. 품질관리 대상은 1.데이터 값(Value) 2.데이터 구조(Structure) 3.데이터 관리 프로세스 (Process) 품질관리 조직은 1.CIO/EDA (개괄적 관점) 2.DA(개념적) 3.Modeler(논리적) 4.DBA(물리적) 5.User(운용적) 데이터 품질 인증 제도에는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이 인증심사를 수행하는 DQC (Database Quality Certification) 가 있습니다. 세부 3가지 영역으로 심사를 수행 합니다. DQC-V(Value; 도메인, 업무규칙) DQC..
-
소프트웨어 품질소프트웨어공학 2021. 11. 5. 10:56
기술사 학습을 하다보면 수많은 표준을 암기해야 합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소프트웨어 품질 표준입니다. 표준에 대해서는 차 후 별도로 한번 정리를 해 볼 생각입니다. 고품질의 SW란 그것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적(민원24, 주민등록등본발급) 요소와 시스템이 요구하는 비기능적(3초 이내 요청 처리)요소를 모두 만족하는 SW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품질에는 3가지 품질 요소가 있습니다. 1.프로덕트(제품) 품질 : ISO/IEC 9126, 14598, 12119, 25000 2.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품질 : ISO/IEC 12207, CMMI, SPICE(ISO/IEC 15504) 3.소프트웨어 품질 경영 : ISO 9000 품질 경영 시스템(family of q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