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형암호(Homomorphic Encryption)Security 2022. 3. 29. 15:49728x90반응형
1. 프라이버시 보호 암호화, 동형암호의 개요
가.동형암호 정의
평문과 암호문에서 같은 성질이 유지된다는 의미로
평문에 연산 결과와 암호문에 대한
연산결과가 같은 값을 가지는 암호화 기법나.동형암호의 특징
- 서킷 프라이버시 - 연산 진행 시 연산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하는 성질
- 다중 도약 동형성 - 생성된 암호문이 다른 동형 연산의 입력으로 사용이 가능한 성질
- 격자 기반 - 높은 난이도의 암호체계로서 양자컴퓨팅의 보안 방법 중 하나2. 동형암호의 동작 메커니즘과 상세설명
가.동형암호의 동작 메커니즘
- 평문 상태의 연산 결과와 암호문 상태에서 수행한 연산 결과가 동일나.동형암호의 상세 설명
구분 항목 설명 유형 부분적 동형암호 - Partial homomorphic encryption(PHE)
- 오직 한유형의 연산만 지원준 동형암호 - Somewhat homomorphic encryption(SHE)
- 덧셈과 곱셈 모두 지원하며 몇번의 연산에도 값 보존 처리완전 동형암호 - Fully homomorphic encryption(FHE)
- 준동형암호에 bootstrapping을 통해 이론상으로 대수연산(덧셈, 곱
셈, XOR)을 무한번 수행 가능설계원리 Bootstrapping - 암호화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노이즈가 감소된 새로운 암호문 생성
후 연산 수행하는 설계 원리Squashing - 노이즈 증가 감소, 평문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원리
- 복호화 알고리즘 및 공개키 일부 변형알고리즘 RAD78 - 최초 동형암호, 속도가 매우 느리고 암호문의 크기가 수십배 커짐 BGN05 - 덧셈과 한번의 곱셈 연산 보존 가능 Gen09 - 격자(lattice)기반, 난수화 된 에러 사용하여 일정 수 연산 시행 시
에러 증폭되어 복호화 불가능-개인정보보호
- 부분[쿼리 제한]/준/완전
- 에러증폭/부트스트래핑/스쿼싱
- 클라우드 기반 연산, 유전/생체정보 활용, CRT-Based/병렬적 암호화 연구중
- EU GDPR/PPDM 대응
- 암호화 연산 결과 = 평문 연산 결과
- 사례 : Helib6(IBM), SEALv2.4(MS), 혜안(서울대)의 보안성 높음
- 격자연산(Latice) 토큰화, 순서보존, 형태보존 암호화
- ex) 8+10 = 18, 0+2 = 2, 1+3 = 4 (/4, /7)
728x90반응형'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MS-P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제도 안내서 (0) 2022.04.25 부채널 공격(Side Channel Attack) (0) 2022.03.29 아파트 월 패드 해킹과 스마트 홈(Smart Home) 보안(Security) (0) 2022.01.05 Apache Log4j 보안 업데이트 권고(CVE-2021-45105) (Update. 21-12-22 13:40) (0) 2021.12.23 OWASP Top10 2021 (0) 202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