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파트 월 패드 해킹과 스마트 홈(Smart Home) 보안(Security)Security 2022. 1. 5. 10:23728x90반응형
0. Why
- 보안 취약점이 내제된 Smart Home 제품으로 인한 아파트 월 패드 해킹으로 인한
Privacy 침해사고 발생
1. 디지털로 진화하는 주거공간, 스마트 홈의 개요
정의 에너지, 가전제품, 보안기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기술 특징 사용자 편의성, 보안 취약점, CC인증, 설계부터 보안 내제화 2. 스마트 홈의 보안 취약점
구분 취약점 내용 네트워크 망분리 미흡 - 아파트 네트워크 공유
- 세대간 망분리 미적용Smart Device 취약한 인증 - 초기 비밀번호 미설정
- 보안 미인증 제품 사용정책 법.제도 미흡 -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 표류
- 업계 이해관계 상충사용자 인식 보안 인식 부족 - 비밀번호 보안강도 미흡
- 보안 위협에 대한 인식 부족3. 스마트 홈의 보안 취약점 대응방안
구분 취약점 대응방안 네트워크 망분리 미흡 - 세대간 망분리 적용 Smart Device 취약한 인증 - 생명주기(SDLC)별 스마트 홈 보안 대응
- CC, GS인증 제품 사용
- 초기 비밀번호 설정 및 강화정책 법.제도 미흡 - 산학, 민관 협의체 구성
- 민관 협력 핵심 기술 개발 및 보급사용자 인식 보안 인식 부족 - 사용자 보안 의식 강화
- 보안 매뉴얼 제작 및 보급728x90반응형'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채널 공격(Side Channel Attack) (0) 2022.03.29 동형암호(Homomorphic Encryption) (0) 2022.03.29 Apache Log4j 보안 업데이트 권고(CVE-2021-45105) (Update. 21-12-22 13:40) (0) 2021.12.23 OWASP Top10 2021 (0) 2021.12.23 원격 코드 실행(Remote Code Execution) (0) 202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