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사 학습
-
Agile에서 일의 단위 알아보기기술사 학습 2021. 11. 5. 10:46
애자일에서의 일의 단위를 크기 순으로 나열해 보면 Theme > Epic > Story > Task 순이다. 예를 들어보면 Theme: 식당에서 태블릿/스마트폰과 클라우드를 통한 주문 시스템. Epic: 손님은, 테이블의 태블릿을 이용하여 음식과 식사 관련된 일을 처리할 수 있다. Story: 손님은, 음식을 주문하기 위해, 메뉴를 볼 수 있다. Task: 음식 사진/설명이 배열된 메뉴 화면을 구현한다. 애자일에서 일의 기본 단위는 Story 이다. 전통적 방법론과 비교해 본다면 WBS 마지막 레벨의 Task 와 유사하다. 스토리 포인트로 애자일 팀의 속도를 가늠할 수 있다. 한 Sprint에 소요되는 스토리 포인트가 80이라면, 이 스크럼팀의 Velocity는 80 스토리 포인트가 된다. B..
-
위험과 이슈의 차이점 비교기술사 학습 2021. 11. 5. 10:43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비교가 가능하다. 1. 시점에 따른 비교 - 위험 : 문제의 예방 - 이슈 : 문제의 해결 2. 대응 방법 관점의 비교 - 위험 : 낮추는 것 - 이슈 : 해결하는 것 동일한 문제도 View Point, 시간, 공간 측면에서 위험으로 분류 할 수도, 이슈로 분리 할 수도 있게된다. 예를 들어 운영중인 시스템이 IE11 기준으로 개발 되었는데 2022년 06월 IE11 지원이 중단되는 문제가 있다면 - 현재 (2021년 10월) 기준으로 보변 위험이 되는 것이고 - 2022년 7월에는 이슈가 된다. 또한, 고객이 현재 문제를 제기하게 된다면 현재 시점에도 이슈가 될 수 있다.
-
Time boxing기술사 학습 2021. 11. 5. 10:39
Time boxing은 테스트 기법중 경험기반 테스트 수행시 One Session 의 정해진 시간을 의미한다. 무한정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 아나라 짧은 정해진 제한 시간 내에 테스팅하여 몰입 유도하여 테스트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법이다. 기술사 학습시에도 이 기법은 유용한다. 실제 시험에서 문제별 시간을 할당하여(1교시 문항당 9분, 2교시 23분) 답안을 작성하는 것이 유효하다. 자주 하는 실수 중의 하나가 잘 아는 문제, 쓸게 많은 문제에 오버페이스 하는 것이다. 1교시 3단락 까지 10분안에 끊지 못하고 11~12분을 할애하면 마지막 10번째 문제는 4~5분 으로 부실한 답안이 된다. 2교시는 더욱 심각하다 25분 안에 끊지 못하고 30~35분 쓰다보면 마지막 한 문제는 10~15분 ..
-
기술사 답안작성 방법(노하우)기술사 학습 2021. 10. 1. 10:17
1.기술사 필기시험 답안의 개요 가.기술사 필기시험 답안의 정의 - 1교시 13문항 중 10문항, 2교시 6문항중 4문항을 선택하여 교시당 100분안에 14페이지 답안지를 자필로 작성하는 답안지 나.기술사 필기시험 답안의 고려사항 1. 가독성 : 채점자가 읽기 편하게 작성한다. 2. 신속성 : 좌위 15도 정도 뉘어서 써서 속도를 높인다. 3. 키워드 : 토픽에 대한 핵심 키워드로 고득점 가능 2.기술사 필기시험 답안 작성 및 대응방안 가. 기술사 필기시험 교시별 답안 작성 1. 1교시형 답안 작성 - 1단락 : 개요 및 정의, 필요성/특징 - 2단락 : 구성도 및 구성요소 / 개념도 및 기술요소 / 아키텍처 및 핵심기술 / 시스템구성도 및 프로세스 - 3단락 : 문제의 수평적/수직적 확장 기술과의 ..
-
125회 정보관리기술사 1차(필기시험) 합격률기술사 학습 2021. 9. 30. 16:20
회차별로 합격률이 많이 차이가 나는 요즘 기술사 시험입니다. 2021년 마지막 시험인 125회 정보관리는 5.57%로 다소 낮아졌습니다. 년 3회 시험중 가운데 회차의 시험 합격률이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시험과목이 겹치는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는 오히려 합격률이 2배 이상인 14.7%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제가 125회 시험에 합격했으니, 운이 좋았던 걸까요^^ CA(컴퓨터구조), OS(운영체제), Unix(Linux) 운영경험, Network, Security에 강점을 가지신 분이라면 정보관리보다 경쟁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에 도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겠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공감, 질문 무엇이든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