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2022 정보처리기사 출제기준(2020.1.1.∼2022.12.31)정보처리기사 2022. 2. 11. 08:37
산업인력관리공단에서 제공하는 정보처리기사 출제기준입니다. 학습을 시작하기 전에 출제기준을 명확히 파악하고 학습을 진행하여 효율적인 학습이 되길 바랍니다. 출제기준(필기) 직무분야 정보통신 중직무분야 정보기술 자격종목 정보처리기사 적용기간 2020.1.1.∼2022.12.31. ○ 직무내용 : 정보시스템 등의 개발 요구사항을 이해하여 각 업무에 맞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관한 설계, 구현 및 테스트를 수행하고 사용자에게 배포하며, 버전관리를 통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서비스를 개선하는 직무이다. 필기검정방법 객관식 문제수 100 시험시간 2시간30분 필 기 과목명 출 제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소프트 웨어 설계 20 1. 요구사항 확인 1. 현행 시스템 분석 1. 플랫폼 기능 분석 2. 플랫폼..
-
머신러닝,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이란 무엇인가요?신문기사_논문_가이드 2022. 2. 10. 11:51
기계학습, 영어로는 Machine Learnning 이라고 부르며, 약어로는 ML 이라고 많이 표현하고 있으며 인공지능의 범주에 포함되는 컴퓨터과학을 이용한 컴퓨터 알고리즘 연구의 한 분야입니다. 인공지능을 시각화 해서 분류해 보면 대략적으로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기계가 학습을 한다고요??????? 어떻게 그게 가능하지? 많이 궁금할텐데요 쉽게 접근하기위해 영화 터미네이터를 생각해 볼께요 미래에서 현재로 파견된 터미네이터는 현재라는 생소한 환경에서 사람과 옷, 무기, 오토바이등을 인식합니다.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았지만,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기계가 스스로 대상을 인식하게 됩니다. 1. 시각(초고성능 카메라)으로 대상을 탐색합니다. 2. 인식하려는 물건에 초점을 맞추고 사각형 박스로 구분을..
-
126회 정보관리 1교시_ 정규분포 특징확률&통계 2022. 2. 8. 15:27
1.통계적 분석의 가정, 정규분포의 개념 - 종모양의 좌우대칭 형태로 분포되는 연속확률분포의 하나로 평균에 가까울 수록 발생확률이 높은 분포 형태 2.정규분포의 특징 가. 정규분포의 그래프적 특징 - 좌우대칭 : 분포는 좌우 대칭의 형태이며, 평균치에서 확률값이 가장 높다 - 면적 : 정규분포 곡선 아래의 전체 면적은 1이다. - X축 : 평균에서 멀어질수록 X축에 가까워지며, 절대 X축에 닿지 않음(확률값이 0이 될수 없음) 나. 정규분포의 일반적 특징 - 평균과 분산 : 평균과 분산의 값에 따라 상이한 형태를 보인다. - 확률변수 값의 구간 : -∞
-
그린수소, 블루수소, 그레이수소 란?신문기사_논문_가이드 2022. 2. 8. 11:19
안녕하세요! 정보관리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양술사쏜~ 입니다. 기술사의 시선으로 ICT 관련 주제를 쉽게 풀어주는 PER.SON(Professional Engineer Report, SON) 블로거 입니다. 그린수소! 수소에도 색깔이 있는걸까요? 그레이수소, 블루수소, 그린수소라는 생소한 단어가 신문기사의 키워드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수소앞에 그레이, 블루, 그린 이라는 색상을 붙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건 바로,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원이 다르고 발생되는 부산물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색상에서 느껴지는 이미지가 어떤가요? 그레이(Gray) : 어쩐지 우중충하고 답답한 느낌이 납니다. 블루(Blue) : 푸른하늘이나 시원한 바다가 느껴집니다. 그린(Green) : 깨끗하..
-
디파이(DeFi)! 먹는 파이인가요? No No~신문기사_논문_가이드 2022. 2. 6. 21:26
디파이(DeFi)는 탈중앙화 금융(De-fi, 디파이)으로 DeCentralized(중앙집중적이 아닌) + Financial(금융)의 합성어로 은행, 증권, 카드와 같은 금융기관 또는 한국은행 주도의 중앙 금융이 아니라 P2P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환경에서 발행되고 유통되는 화페, 금융서비스 등 탈중앙화된 금융시스템을 말합니다. 중앙금융은 CeFi, 탈중앙화금융을 DeFi 국내 디파이 프로젝트 중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져있는 ‘클레이스왑(Klay)’은 카카오의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을 기반으로 하는 디파이 서비스 중 가장 유명합니다. 클레이튼의 기축통화명이 클레이(KLAY)라고 부릅니다. 아직까지 이런 가상자산은 해킹에 취약한 구조입니다. 왜일까요? 해커들은 돈이되는 가상자산 해킹을 위해 ..
-
ICBM! 대륙간탄도미사일?신문기사_논문_가이드 2022. 2. 6. 21:01
북한 관련 뉴스에 가끔 ICBM 미사일을 쐇다는 기사가 나오는데 ICT(정보통신기술)관련한 뉴스에등장하는 ICBM ? 대륙간탄도미사일 아니구요~ 4차산업혁명 시대의 빅테크 기술의 머리 글자를 따서 ICBM 이라고 부릅니다 아래 4가지 기술을 의미하죠~ IoT(Internet of things) Cloud BigData Mobile IoT(Internet of things) 는 센서등, 스마트 스피커, cctv, 블랙박스 등 모든 사물들에 주소를 부여하고 인터넷을 통해 연결하여 상호 소통하는 기술입니다 한걸음 더 나아가 EoT(Everything of Things)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라는 개념도 있어요~ Cloud(구름) 는 여러분이 많이 사용하는 네이버클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