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일상다반사 2021. 12. 30. 17:00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라는 가상의 인물(또는 그룹)이 2008년 10월에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이라는 논문을 발표했고, 2009년도에 Bitcoin Core 프로그램이 공개되며 비트코인이 처음 발행되었습니다. 2021년말 현재 까지도 사토시 나카모토의 정체는 밝혀지지 않았고, 미스테리로 남아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단체나 그룹이었다면, 그 중 한명 또는 다수가 노출될 가능성이 아주 높았을 텐데, 아직까지 정체가 밝혀지지 않았다는건 한 사람 개인일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이 사람 진심 천재^^) 그런데, 비트코인은 각자 소유한 전자지갑에 보유하고 자신의 개인키(열쇠)로만 입출이 가능하다. 사토시 나카모토의 전자지갑..
-
123회 정보관리기술사 1교시 회기술사 멘토링 2021. 12. 30. 09:30
안녕하세요. 정보관리/컴시응 양술사쏜~ 입니다. 오늘은 2022년 첫번째 회차인 126회 시험이 한 달 남은 상황에서 2021년 첫번째 회차인 123회(겨울) 정보관리 1교시 문제를 한 번 돌아보려 합니다. 1. SCRUM의 팀구성 및 개발프로세스 > 대세 개발 사상인 Agile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SCRUM 프로세스(또는 방법론)의 확인 컴퓨터시스템응용에서는 XP 문제가 최근에 출제 되었습니다. 이제, 물어 볼 건 Lean개발 방법론, 좀 더 깊게 각 방법론의 효율성 측정 방법, 산출물 관리, 원가관리 정도 생각해 봅니다. 2. 타당도(Validity)와 신뢰도(Reliablity) > 어려운 문제 였습니다. 통계학을 기초부터 학습하지 않았다면 손대기 어려운 문제였죠! 이제 정보관리에서 통계를 빼고..
-
단말 간 직접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Network 2021. 12. 29. 11:34
1. 통신망 부하경감 및 높은 QoS제공,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D2D 통신) 기술의 개요 가. D2D 통신 정의와 필요성 구분 설명 정의 - 이동전화망에서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코어망을 경유하지 않고 두 모바일 사용자 간 직접 통신하는 방식 - 기지국, 무선접속 공유기(AP)의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단말기 간에 직접 통신하는 기술 필요성 모바일 디바이스 폭증 -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센서 등 IoT 기기의 폭발적 증가 기존 통신방식 한계 - Bluethooth, WiFi P2P 통신기술의 대역폭 및 QoS 한계 존재 응용 기술의 요구 - 근접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 기반한 응용 기술의 요구 증가 나. D2D단말의 계층 ..
-
-
2022년 국가기술·전문자격 일정이 수록된 2022년 달력기술사의 일상 2021. 12. 28. 15:18
2022년 국가기술·전문자격 일정이 수록된 2022년 달력 첨부파일 공유합니다.
-
기술사 1교시 고득점 답안지 작성 방법론 및 샘플 답안기술사 학습 2021. 12. 28. 11:28
안녕하세요 오늘은 1교시형 답안지 작성에 대해 얘기해 보려합니다. 이건 제가 122회 정보관리기술사 합격시 받은 1교시 점수 입니다. 참고 하시고요, 1. 가독성의 중요성 펜글씨 처럼 필체가 좋은 분들도 봤지만, 읽기에 부담없고 눈에 들어오는 글씨체 정도면 무난합니다. 객관적으로 옆 사람이 집중해서 봐야 읽을 수 있는 글씨체는 교정이 필요합니다. 2. 문제 유형 파악 및 답안 구성 - 단일 기술 문제 : 정의, 특징, 구성도 및 구성기술, 메커니즘, 연관기술 및 유사기술 비교 - 서비스 및 트렌트 : 구분, 분류와 같이 도표의 1열(메타) 구성 ex) 아래 답안의 DNA, ICBM 3. 답안 작성 시간 - 100분 / 10 문제 = 문제당 10분 - 평소 학습이나 모의고사에서 1문제 당 8~9분 작성 -..
-
정보관리냐? 컴퓨터시스템응용이냐? 선택의 기로에 있다면기술사 멘토링 2021. 12. 27. 16:31
정보관리기술사를 도전 할 것인가?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를 도전 할 것인가? 두 자격증은 취득 후 혜택이나 협회가입 등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무엇을 선택하든 자신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자격증을 선택하세요 정보관리기술사는 방대한 학습 범위, 시험 1회차가 끝나면 추가되는 어마어마한 양의 토픽들이 수험생을 가장 괴롭히는 요소 중 하나 입니다. 주요 도메인은 SW공학(PMP, 관련 법령), DB, 디지털서비스, 보안, 통계학, 인공지능 입니다. 본 인이 기본 지식이 풍부하고, 논리적인 서술과 필체가 강점이라면 정보관리기술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는 응시생 수가 정보관리에 비해 매우 제한 적입니다. 문제 특성을 살펴보면 정답이 명확한 문제들이 다수 출제됩니다. 정답이 명확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