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
정보관리기술사 학습 도메인이란 무엇인가?기술사 학습 2021. 11. 26. 14:08
기술사 학습을 처음 시작하면 도메인 이라는 용어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나무위키에는 아래와 같이 정의 되어 있습니다 "도메인(domain)이란 단어는 영토, 분야, 영역, 범위를 뜻하는 단어(예를 들어 소유지, 토지 소유권(법률) 등)였으나 인터넷 주소의 의미로 확장되었다. 어떤 전문 분야에 대해 얘기할 때 해당 도메인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와 같이 말하기도 한다." 즉, 기술사 학습에서의 도메인 이란 어떤 전문 분야( 소프트웨어공학, IT경영, 네트워크....)의 지식을 의미 합니다. 학원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나뉘는 도메인을 정리해 보면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1. IT경영 : IT거버넌스 (전략수립, 가치전달, 위험관리, 자원관리, 성과관리), ITSM, ISP, ISMP 등 2.프로젝..
-
출제예상문제기술사 학습 2021. 11. 23. 13:29
1. LSTM 2. 3GPP 의 PS-LTE 주요 기술 3. 5G Network Slicing 4. 동형암호 5. 사이버 탄력성(Cyber Resilience) 6. DNSSEC 7. Heap 8. IoT 공통보안 7원칙 9. 베이즈 정리(Bayes' theorem) 10. 부채널 공격(Side Channel Attack) 11. VRRP(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와 STP(Spanning Tree Protocol) 12. 터널링 기술 13. Livelock vs Deadlock 14.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s System), DGPS(Differential GPS), AGPS(Assisted GPS) 15. MaaS(Mobili..
-
정보관리기술사 모의고사 문제 출제기술사 학습 2021. 11. 22. 08:42
지난 주말에는 모학원 모의고사 출제위원으로 위촉되어 모의고사 문제 출제 및 채점을 진행했습니다. 답안지 채점한 소감을 말해보자면 아래 문제와 같이 정답이 없는 문제 유형은 점수를 주기 위한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1. OOO 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의 주요기술과 활용방안 ex) 1. 원격지 근무를 활성화 2. 사이버 보안을 강화 3. 펜데믹을 완화 이런 유형의 문제에서 답안의 핵심 포인트는 문제에 이미 답이 있다는 건데, 수험생의 대부분이 이를 간과하고 자기가 쓰고 싶은것만 잔뜩 쓴다는 겁니다. * 핵심 포인트 : 원격지 근무, 사이버 보안, 펜데믹을 완화 이 핵심 포인트를 무시하고 답안을 작성 합니다. 답안 유형 * Type1 : 4차 산업혁명이 뭔지 설명하는 경우 > 물어보지 않은 것에 대한 설명..
-
2021년 정기 기술사 125회 면접 채점 결과 집계표기술사 멘토링 2021. 11. 19. 13:45
2021년 마지막 기술사 합격자 발표가 오늘 있었습니다. 정보관리 합격률은 72.73% 로 매우 높았고 컴시응은 상대적으로 낮은 45.45% 였습니다. 저는 오늘 125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에 최종 합격 하였습니다. 124 정보관리기술사 125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두 가지 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다. 정보관리기술사는 합격률이 72.73% 괭장히 높은 편이며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는 상대적으로 45.45%로 다소 낮은 편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면접의 경우 해당 회차의 면접관의 성향 즉, 괭장히 고난이도의 질문(기술사라면 이정도는 알아줘야지!) 또는 이미 필기에서 어느 정도 검증되었으니 기본만 물어보자 에 따라 합격률이 괭장히 차이가 있어 보입니다. 시험 운이 어는 정도 작용되는 시험으로..
-
데이터 품질 방안[레거시, 빅데이터, 공공데이터..]Database 2021. 11. 5. 10:57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해 프레임워크 수립이 중요합니다. X축은 품질관리 대상, Y축은 품질관리 조직으로 매트릭스를 구성하여 대상별 조직의 역할을 정의하는 것이 데이터 품질관리 프레임워크 입니다. 품질관리 대상은 1.데이터 값(Value) 2.데이터 구조(Structure) 3.데이터 관리 프로세스 (Process) 품질관리 조직은 1.CIO/EDA (개괄적 관점) 2.DA(개념적) 3.Modeler(논리적) 4.DBA(물리적) 5.User(운용적) 데이터 품질 인증 제도에는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이 인증심사를 수행하는 DQC (Database Quality Certification) 가 있습니다. 세부 3가지 영역으로 심사를 수행 합니다. DQC-V(Value; 도메인, 업무규칙) DQC..